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하는 방법, 복잡하지 않아요!

부동산 거래를 진행할 때 중개수수료, 흔히 '복비'라고 불리는 비용이 발생합니다. 이 수수료는 거래 유형과 금액에 따라 달라지며, 정확한 계산 방법을 알고 있으면 예산을 계획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1. 부동산 중개수수료란?

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계약 시 공인중개사에게 지불하는 보수를 말합니다. 이는 거래 금액과 유형에 따라 상한 요율이 정해져 있으며, 법적으로 그 한도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.

 

주요 특징

  • 거래 금액과 유형에 따라 요율이 다름
  •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 요율 내에서 중개사와 협의 가능
  • 매도인과 매수인, 임대인과 임차인 각각 지불

 

 

2. 주택 매매 시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

주택 매매의 경우 거래 금액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한 요율이 적용됩니다:

 

매매 거래 상한 요율표

  • 5천만 원 미만: 0.6% (한도액 25만 원)
  • 5천만 원 이상 ~ 2억 원 미만: 0.5% (한도액 80만 원)
  • 2억 원 이상 ~ 6억 원 미만: 0.4%
  • 6억 원 이상 ~ 9억 원 미만: 0.5%
  • 9억 원 이상 ~ 12억 원 미만: 0.6%
  • 12억 원 이상: 0.7%

거래 금액이 3억 원인 경우 상한 요율은 0.4%이며, 중개수수료는 3억 원 × 0.004 = 120만 원이 됩니다.

 

 

부동산 계약서 작성 절차와 법적 효력 확보 방법
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!

 

 

3. 주택 임대차 시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

임대차 거래의 경우 보증금과 월세를 합산한 금액에 따라 상한 요율이 적용됩니다:

 

임대차 거래 상한 요율표

  • 5천만 원 미만: 0.5% (한도액 20만 원)
  • 5천만 원 이상 ~ 1억 원 미만: 0.4% (한도액 30만 원)
  • 1억 원 이상 ~ 6억 원 미만: 0.3%
  • 6억 원 이상 ~ 12억 원 미만: 0.4%
  • 12억 원 이상: 0.5%

월세의 경우 보증금에 월세 × 100을 더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 보증금 1억 원에 월세 50만 원인 경우 거래 금액은 1억 원 + (50만 원 × 100) = 2억 5천만 원이며, 상한 요율 0.3%를 적용하면 중개수수료는 2억 5천만 원 × 0.003 = 75만 원이 됩니다.

 

 

4. 오피스텔 및 상가의 중개수수료

오피스텔과 상가의 경우 다음과 같은 상한 요율이 적용됩니다:

 

오피스텔 및 상가 상한 요율표

  • 오피스텔 (전용면적 85㎡ 이하, 일정 설비 구비): 매매 0.5%, 임대차 0.4%
  • 상가 및 기타 부동산: 거래 금액의 0.9%

전용면적 80㎡의 오피스텔을 2억 원에 매매하는 경우 상한 요율 0.5%를 적용하여 중개수수료는 2억 원 × 0.005 = 100만 원이 됩니다.

 

 

5. 중개수수료 계산 시 유의사항

중개수수료를 계산할 때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:

 

유의사항

  • 상한 요율은 최대치이며, 중개사와 협의를 통해 낮출 수 있습니다.
  • 부가가치세(VAT) 10%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최종 금액을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계약 전에 중개수수료를 협의하여 분쟁을 방지해야 합니다.

 

 

부동산 계약서 작성 절차와 법적 효력 확보 방법
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!

 

 

결론

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거래 유형과 금액에 따라 상한 요율이 정해져 있으며, 이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. 정확한 계산 방법을 숙지하고 중개사와 협의하여 합리적인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부가가치세 등의 추가 비용을 고려하여 예산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.